괜찮다, 다 괜찮다 - 공지영이 당신에게 보내는 위로와 응원
전문 인터뷰어 지승호님과 공지영작가의 인터뷰집이다.
성실하게 질문을 준비하고 귀 기울여 듣고 정리한 것으로 매력적이다.
공지영
이라는 인물에 대해 다가가려는 노력이 빛난다.
공지영 소설가의 책 중에서 나와 접점은
<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> 읽고 난 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.
솔직히, 그녀의 작품보다 그녀의 사생활이야기를 더 많이 했던 게 사실이다.
이 책을 읽고 한 없이 부끄럽고 미안했다.
그녀의 표현대로 라면 난 그럴 이유도 자격도 없는 사람인데 말이다.
90년대 후반 신경숙,은희경,공지영은 대중들의 사랑을 받는 트로이카 작가다.
-사실, 머릿속으로는 여성 작가라는 표현을 썻다가 검열 당했다 ㅎㅎ
개인적으로 은희경의 단편들에서 위안을 많이 받았다.
신경숙의 <외딴방> 은 쉽게 책에서 벗어날 수 없는 매력적인 이야기였다.
20대에는 공지영의 매력을 알아 보지 못 했다.
그 시절 겉멋에 빠져 삶의 진정성에 다가서지 못 했던 시기가 아니였나 싶다.
2007년 <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> 라는 공지영의 산문집을 읽은 후부터
그녀의 소설이 궁금해 졌다.
소설가 공지영에 대한 변명이라기 보다 인간 공지영의 치열한 삶의 부연 설명인
이 인터뷰집을 흥미 있게 읽었다.
그녀는 대중들에게 환대 받은 댓가로 여성지 가십란을 도배 했었다.
그 이유는 너무나 솔직하다는 거였다.
상처 받고, 불안해 떠는 예민한 작가 공지영은 앞으로도 꾸준히 사랑 받을 것이다.
그녀는 말로 위선 떨지 않고 실천하며 자신을 사랑할 줄 안다.
게다가, 우리들에게 위로를 해 줄수 있는 여유를 가진 작가다.